|
것이라는 점에서 위의 일본측 근거는 믿을 수가 없다. 게다가, ‘일본이라는 국호도 7세기에 들어 와서야 사용되는데 그 이전에 일본부라는 용어가 있었다는 것은 시기적으로도 맞지 않다.
또, 중국의 역사서인 송서를 보면 일본 무왕이 스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 지역을 가리킨다 할 수 없다.
◎임나일본부의 실체
일본서기의 여러 필사본과 주석서를 보면 일본부는 야마토의 미코토모치로 훈독되어진다. 즉 부란 미코토모치를 한자로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미코토모치는 왜의 사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 아니고 대마도에 치소를 두고 당시 일본열도 등지를 통제한 임나연정왕이다. 또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나오는 왜를 모두 일본열도 방면의 왜로 오해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나오는 왜는 대부분 마한이나 구태백제를 지칭한 것이고 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열도 등지를 통제한 임나연정왕이다. 또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나오는 왜를 모두 일본열도 방면의 왜로 오해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나오는 왜는 대부분 마한이나 구태백제를 지칭한 것이고 대마도나 일본열도왜를 지칭한 경우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7.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적인 거주를 증명할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5) ‘분국론’에는 『일본서기』‘임나일본부’에 관련되는 임나 자체를 한반도가 아닌 일본열도로 비정하였던 점에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任那’라는 용어가 『일본서기』에 주로 보이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