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 관학자들의 한국사관』, 사상계, 1963.
김영호,『한국사 정체론의 극복의 방향-시대구분과 자본주의 맹아 문제』
이기백,『반도적 성격론 비판』, 한국사 시민강좌, 1987.
이명화,『일제총독부 간행 역사교과서와 식민사관』, 역사비평, 19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4.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제 관학자들과 같은 역사관과 연구 방법론, 한국사인식체계를 가진 식민주의 역사학이 아류로 평가되기도 함.
3. 解放 空間의 歷史認識
1) 解放空間의 民族的 · 社會的 課題
- 自主的 統一 民族國家의 樹立
- 植民잔재와 反民族者(親日派)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학자들이 체계적인 방어를 하게 만들어 "탈식민지 사관이란 탈을 쓰고 식 민지 사관을 추종하는" 오히려 더 나빠지는 결과가 초래되었으나 각각의 개성적인 면이 보다 뚜렷 해졌다. 1990년대에 들어오자 일제잔재 청산에 활기를 띄어 조선총독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제에 대한 비타협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던 민족주의자와 백남운 등 맑스주의의 한 계열에서 참여한 학술적 성격의 운동이었다.
193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속에서 '조선학' 진흥운동은 일제 관학의 식민사관에 대항하여 민족의 역사와 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점과 명확히 대비된다고 하겠다.)
한편 정인보는 자신의 사론을 '얼' 사관으로 정립하였다. 이를 단순하게 관념론이라고 치부해버리면, 세상에 관념론 아닌 역사가 없다. 인간사회에 있어 가장 근본이 되는 것이 바로 人心이며, 人心의 변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