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임피던스가 ∞이고 동상입력에 대한 전압이 0V가 나와야 하지만 실제로 측정을 해보면 그 값이 나오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실험 전에 offset전압을 조정해 주어야 한다.)
LM741의 CMRR값이 데이터 시트 값에는 min70- typ90 으로 주어진 것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터의 저항을 단락시켜서 이론값을 계산하지만 실제로 회로에서는 캐패시터로 인한 단락이 안되고 에미터의 실제로 560Ω의 크기가 있어 합성저항이 되어 약간의 차이가 있는 같다.
입력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실험에서는 주파수 발생기의 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입력임피던스 측정
회로도 :
Vi값 :
Vi\' 값 :
가변 저항 값 :
-세 번째 실험 : 출력 임피던스 측정
실험실패
3. 고찰
이번 실험은 이상적인 모델에서, 바이어스 전류=0, 입력 임피던스=∞, 출력 임피던스=0이라는 것이 실제적으로는 어떻게 존재하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4.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피던스 성분이고, h12은 차원이 없는 전류증폭도 즉, 전류이득을 의미한다. h11은 출력단락 입력임피던스 라고 부르고, h21는 출력단락 전류증폭률이라고 칭한다.
h12, h22 구하기 위해서 i1를 0으로 한다.
h21은 차원이 없고, 전압증폭도의 모양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6.08.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할 수 있다. 이 회로를 분석하면 그림 6-3의 회로에서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가 다음과 같이 됨을 알 수 있다.
R_i = {R_B R_BE,Q}over { R_B + R_BE,Q }
R_o = R_L
여기서 RB는 식
R_B ={ R_B1 R_B2 } over {R_B1 + R_B2}~~~(병렬 연결)
)을 만족한다.
<그림 6-7 에미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