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교육과정을 잠재적교육과정(hidden curriculum) 이라고 한다.
이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은 1971년 synder에 의해 발전되었다..
잠재적 교육과정에는 기능론적 입장과 갈등론적 입장이있다.이 두 입장에서 비교 논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loom 은 흔히 말하는 정의적 교육목표인 태도나 가치관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두 교육과정의 조화를 통해서이다. 만약 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이 서로 갈등을 일으킬 때 잠재적 교육과정이 보다 우세한 위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잠재적 교육과정이 교사 및 학생의 긍정적 상호작용에 의해 학생들이 성장하여 사회생활에 필요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갈등론적 입장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은 기능론적인 입장과 다르게 학교에서는 사회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9.0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과정(enacted curriculum), 교실의 대화(classroom conversation)등이 교육과정연구의 새로운 탐구개념으로서 발전할 수 있었다.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2-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갈등론적 입장.
2-2. 잠재적 교육과정의 기능론적 입장
3. 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5.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잠재적 교육과정에도 관심을 기울여 조화 있는 교육(전인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겠다. 1. 잠재적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
2. 잠재적 교육과정의 사회적 의미
3.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기능론적 입장
4.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