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면적 교육과정
2. 잠재적 교육과정
3.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비교
4.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기능론적 접근
5.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갈등론적 접근
2. 잠재적 교육과정
3.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비교
4.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기능론적 접근
5.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갈등론적 접근
본문내용
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교육적 분위기와 같은 교육의 심리적 상황이 학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즉 학교가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조직의 구성비, 외적 교육환경으로 학생의 가정적 배경, 학교의 물리적 조건, 조직 및 행정조직 등이 학교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능론의 주장이 잠재적 교육과정이 교사 및 학생의 긍정적 상호작용에 의해 학생들이 성장하여 사회생활에 필요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갈등론적 입장에서 잠재적 교육과정은 기능론적인 입장과 다르게 학교에서는 사회의 관료주의적 위계, 상벌체게와 같은 통제, 권위주의적인 억압을 통해 학생들을 순종 및 복종하게 하는 의식을 암암리에 행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