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잡과 : 잡과는 일종의 기술직 시험으로 역과(譯科), 의과(醫科), 음양과(陰陽科), 율과(律科)등 4개 부분이 있었다. 대과나 소과 없이 단일과로 2단계의 시험을 거쳐야 하며 전시는 없었다. 또한 식년시 외의 특별시험은 없었고, 증광시가 가끔
조선시대의 교육 학교제도, 교육 학규, 향교, 조선의 사회와 문화, 4학, 서원, 서당, 잡과, 과거제도와 교육, 과거제도의 시행, 과거제도의 종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과에 대한 설명 중 잡과에 대한 설명이 너무 길어져 잡과 중 역과에 대한 부분으로 압축했으면 설명이 더 명료했을 것 같다.
3) 조선시대 역학서의 부분도 나열만 했을 뿐 그 성격에 대한 설명 부분은 없다.
앞에서 언급한 회화서, 어휘사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과 교육의 형성과 발달
나) 잡과 교육의 형태
1) 역과교육(譯科敎育 : 外國語敎育)
2) 의과 교육(醫科敎育)
3) 무과 교육(武科敎育)
4) 율학 교육(律學敎育)
5) 산학 교육(算學敎育)
6) 자학 교육(字學敎育)
7) 유학 교육(儒學敎育)
8)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국대전’에 명기되었다.
<참고도서>
교육의 철학과 역사 (2010, 목영해, 박균섭, 송도선, 강기수 공저, 교육과학사)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교육>
1. 과거제도의 성격
2. 문과
3. 무과
4. 잡과
5. 과거제도와 학교교육의 관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3.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식년 봄에 서울에 모아 병조와 훈련원이 주관하여 강서와 무예로 고시하여 28인을 뽑았다. 전시는 복시 합격자 28인을 무예로 고시하여 등급을 정하였는데 갑과 3인, 을과 5인, 병과 20인을 급제시켰다.
조선시대의 잡과는 기술관의 등용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