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언원의 회화사상이 전편에 상세히 나타나는데 유교적 권계주의 사상과 노장사상에 바탕을 둔 그의 회화사상은 도화견문지와 같은 후대의 화론서에 영향 줌
-선인들의 화사와 화론에 관한 책들을 두루 익히고 참고해서 찬술된 역대 명화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0.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언원 외 저, 김기주 역, 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홍용선, 일탈과희귀 또는 반추와 확산, API, 1992.
참고자료 1. 진경산수화란?
2. 겸재의 생애
3. 진경산수화의 성격과 특징
4. 진경산수의 형성과 시대적 흐름
5. 겸재의 진경산수화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화에는 몰골법에 의한 수묵산수화와 구륵법에 의한 채색산수화가 있다. 그것을 남종산수화와 북종산수화라고도 한다.
겸재 정선과 단원 김홍도는 한국적 실경으로 생활 주변과 진경산수(眞景山水)를 그렸다. 반면에 추사·소치·고람·북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언원의 『역대명화기』를 접하고 참고하여 『도화견문지』를 저술한 것으로 추측되는데 글의 진행 형식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서에서 곽약허의 논의 중 눈에 띄는 부분은 여러 저자들이 그림에 대한 기록을 할 때 대부분 등급을 나누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0.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언원(張彦遠)은 이 전이모사는 \"화가의 말단적인 일\"
張彦遠, 『歷代名 記』, 卷1, 『論 六法』. [至放傳模移寫, 乃] 家末事.
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창작과 회화비평에서 직접 준수해야 하는 기준은 앞의 다섯 가지 법칙으로 이미 족하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