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街談巷說
풀이 : ①길거리나 세상(世上)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이야기
②세상(世上)에 떠도는 뜬 소문(所聞)
단어 : 街 거리 가
談 말씀 담
巷 거리 항
說 말씀 설, 달랠 세, 기뻐할 열, 벗을 탈
독음 : 가담항설
流言蜚語
풀이 : 아무 근거
|
- 페이지 5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1.18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 독음표기와 조사에만 쓰이며, ‘窮’은 받침으로만 쓰이고 초성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책은 중세어와 근대어의 교체기 자료로서 국어사연구에 도움이 된다.
또, ≪효경≫은 옛날부터 ≪천자문≫·≪동몽선습 童蒙先習≫ 등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사 자료 연구, 문학과지성사, 1992.
이기문, (신정판)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9.
한국국어학연구회, 국어사 자료선집, 도서출판 박이정, 1995. 1. 훈민정음 이전
2. 세종대
3. 단종대
4. 세조대
5. 성종대
6. 연산군
7. 중종대
8.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어’에 대한 태도
우호적인 입장 : 한자어는 비록 한자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이미 이른 시기에 우리말 속에 들어와 귀화가 끝난 말들이다. 또 국어 어휘의 절반 이상이 한자어들이므로 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가 없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5.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차용 표기법으로, 순수하게 한국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특징: 향찰은 한국어의 소리에 가장 가까운 한자를 선정하여, 그 한자의 음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주로 불교 경전의 한국어 독음이나 민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4.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