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당성 없는 쟁의행위가 될 것이지만 나머지는 모두 노쟁법위반일 뿐(단, ③유형의 경우는 위헌심사대상) 업무방해죄 등 시민형법적용의 대상은 아니다. 즉 정당성은 있기 때문에, 다만 노쟁법위반의 벌칙적용을 받는 쟁의행위가 된다.
ⓐ국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업시각에 맞추어 출근하는 것은 태업과 같은 쟁의행위에 해당한다고 생각되며 그 정당성의 판단도 태업의 경우와 같이 보면 될 것이다.
4. 마치며
쟁의행위에 대한 업무방해죄의 적용에 있어서 일반 형법상 범죄의 경우와는 달리 헌법상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위는 정당한 행위로 해석될 수 없는 것인 바, 조합원들의 지하철공사 사무실 점거에 의한 업무방해행위, 무임승차운행에 의한 배임행위, 재물손괴에 의한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위반행위 등은 어느 것이나 쟁의행위의 정당성의 한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같은 이유로 위 피고인들이 피해자 2를 감금한 것이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한다는 위 피고인들의 주장을 배척한 것도 정당하다. (대법원 1990. 7. 10. 선고 90도755 판결) 1. 쟁의행위 수단의 정당성 법리
2. 수단의 정당성 관련 주요 판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위라고 보아야 한다. 大判 1997.12.23 선고, 96누1178 판결.
Ⅵ. 사용자 측의 쟁의행위
1. 사용자의 노조업무방해
노동조합 외에 사용자 측도 용역깡패나 구사대 또는 불법대체근로를 통한 쟁의행위도 역으로 노동조합의 업무방해죄가 문제된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