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정기간에 대한 특칙
조정은 조정신청이 있은 날부터 일반사업은 10일, 공익사업은 15일이내에 종료하여야 한다.
3. 긴급조정의 인정
노동부장관은 쟁의행위가 공익사업에 관한 것이거나 현저히 국민경제를 위태롭게 할 위험이 현존하는 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쟁의행위와 임금청구권
1. 문제점
쟁의행위 기간 중의 임금지급과 관련하여 파업참가자의 임금삭감의 범위와 파업불참자의 임금지급이 문제된다.
2. 쟁의행위 참가자의 임금
(1)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
노조법은 쟁의행위 기간 중 쟁의행위에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90누4006 판결) 같은 취지의 판례로 대법원 1991. 12. 10. 선고 91누636 판결, 1992. 9. 22. 선고 92도1855 판결, 1992. 12. 8. 선고 92도1645 판결, 대법원 1992. 12. 8. 선고 92누1094 판결 등이 있다. 1. 조정전치주의와 쟁의행위
2. 조정전치주의관련 주요 판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쟁의행위의 목적과 방법에 관하여 약술하시오. (10점)
4. (제8강, 제14강)「노동조합법」에 따라 노동위원회가 공익사업에서 발생한 노동쟁의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하여 약술하시오. (10점)
5. (제12강)「공무원노조법」에 따른 공무원노조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쟁의행위의 제한과 금지
1. 의의
2. 공무원의 쟁의행위 금지
1) 의의
2) 쟁의행위 가능여부
3) 위반의 효과
3. 주요방위산업체 종사 근로자의 쟁의행위 금지
1) 의의
2) 주요방위산업체
3) 관련 구체사례와 행정해석
4) 위반의 효과
4. 조정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