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단파괴 방지를 위해 철근콘크리트 보에 전단보강근을 배근하며, 이때 전단
보강근은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는 곳에 배근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보강근의 배근방법이 전단파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며 전단보강근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0.12.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 정해진다. 이 두 개의 응력 중 큰 값에의해 보의 배근방법이 달라진다.
1) 보의 배근과 철근 명칭
보에 생기는 응력은 휨 모멘트 휨강도(주근이 부담)
전단력 전단보강(스터럽(늑근)이 부담)
2) 스터럽(늑근)의 배근
스터럽(늑근)은 기둥의 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9.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단보강근을 넣지 않기도 한다. 기초판에 대한 접지압은 흙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균등하지 않지만 가정은 균등한 것으로 본다(기초에 전달되는 하중에 편심이 없고 모멘트가 전달되지 아니하면 접지압은 균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편심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 배력철근, 스터럽 배근 예
(5) 축방향 철근
부재의 축방향으로 배치한 철근으로, 주로 기둥의 주철근이다.
(6) 전단보강근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배치하는 철근으로 전단보강철근, 사인장 철근, 복부 보강근이라고도 한다.
(7) 사인장 철근
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공사
직경이 큰 철근 (D22~D41)의 사용, 전단보강근의 대량배근, 고정밀도 확보의 필요등에서, 기둥, 보, 철근은 모두 지상에서 부재단위 또는 여러 부재분을 정리하여, 선조립철근으로서 조립, 양중, 접합되고 있는 예가 많다.
(8)거푸집 공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