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어에서의 전설모음화
4) 오류에 의한 전설모음화
3. 규칙화
4. 문제점
1) 명칭상의 문제
2) 특이한 전설모음화
3) 발음상의 오류 - 표준어에 위배됨
4) 전설모음화를 동화로 볼 수 없는 근거
5. 음운론적 가치, 한계 및 과제
Ⅲ. 결론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설모음화의 확대
2. 유형화와 용례 및 해석
1) 통시적 변화
2) 공시적 변화
3. 규칙화
4. 문제점
1) 명칭상의 문제
2) 특이한 전설모음화
3) 발음상의 오류 - 표준어에 위배됨
4) 전설모음화를 동화로 볼 수 없는 근거
5. 음운론적 가치, 한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운론적 제약
가) 개재자음이 치경음/t, t, tʰ/, 연구개음 /k, k, kʰ/, 순음/p,p,pʰ,m/일 때, 움라우트 현상이 일어난다.
a. /a/ ‘ㅏ ’ → [ε] ‘ㅐ ’ Ⅰ. 전설모음화(前舌母音化)란?
Ⅱ. 전설모음화의 구분
1) 모음에 의한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6.2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의 발음 실태와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외국인 (5. 교육 방안) 수업 모형 3차시
신현주, (2015). 단어 경계에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 서론
2. 본론
2.1 음운 규칙의 변화 과정
2.1.1 음운론적 조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개념인 명사(위, 아래) 보다 먼저 획득
자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은
파열음(폐쇄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언어발달지체 와 언어편차의 차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