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 전시작전통제권?*
한반도 전시 한국군 작전 통제의 권리
평시
작전통제권
한국독자적 행사
전시
데프콘 3단계 발령
한·미 연합사령관
통제권 행사
서론 - 전작권 미국 이양 배경*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7.0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전환’ (서울: 메이데이, 2007)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을 위한 문제점과
한미동맹 강화비전
가, 전시 작전통제권의 의미와 배경
나,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과 한국안보의 문제점
다,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장기비전
참 고 문 헌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3.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추진하는 의도와 배경은 무엇인가? 이는 盧정권의 대북 유화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곧 북한이 주장하는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을 실현시키기 위해, 북한의 주장을 수용하려는 것이 아닌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5.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군의 작전권
평시 작전 통제권
전시 작전 통제권
전시작전통제권 배경
1. 1950년~1978년
“현 적대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육〮해〮공군에 대한 일체의 지휘권(command authority)를 이양(assign)”
한미 상호방위 조약 체결
휴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9.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전은 합동으로 이뤄질 때 가장 큰 효율성이 있다. 전쟁 상황에서 아군을 효율적으로 통제하지 못한다면 이는 큰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NATO와 같은 경우도 현재의 한국과 마찬가지로 전시작전통제권을 미군장군에게 위임하여 연합작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4.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