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第四十九回 端禮門立碑誣正士 河湟路遣將復西蕃
제사십구회 단례문립비무정사 하황로견장복서번
송사통속연의 제 49회 단례문에 비석을 세워 바른 선비를 헐뜯고 하황로에 장수를 보내 서번을 회복하다.
第五十回 應供奉
|
- 페이지 4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비 시시신라일월무광 일자주운 일월지정 강在我國 今去日本 故致斯怪 王遣使求二人 延烏曰 我到此國 天使然也 今何歸乎 雖然朕재아국 금거일본 고치사괴 왕견사구이인 연오왈 아도차국 천사연야 금하귀호 수연짐之妃有所織細 以此祭天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귀비가 되었다. 신라에서는 일월이 광채를 잃었다. 일관이 아뢰기를, 일월의 정기가 우리나라에 있던 것이 지금 일본으로 간 때문에 이런 변이 일어났다고 하였다. 왕이 사자를 보내어 두 사람을 찾으니 연오가 말하기를 '내가 이 나라에 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궁’이란 두 글자를 가해야 호칭이 편합니다.”
覃包再去請命, 未幾卽傳諭准議, 乃尊皇后錢氏爲正宮慈懿皇太后, 貴妃周氏爲皇太后。
담포재거청명 미기즉전유준의 내존황후전씨위정궁자의황태후 귀비주씨위황태후
담포는 재차 어명을
|
- 페이지 61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20.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파, 사낭탐모 등의 고정 레파토리의 공연이 펼쳐진다.
1)귀비취주
청나라 초기 홍승이 지은 장편 희곡 《장생전》의 한대목을 따 만든 중국의 경극.
내용
청나라 초기의 작가 홍승이 지은 전기《장생전》(1688)의 한 대목인 취비에서 따온 것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