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들어가며
2. 정동사 어미
2.1. 설명법 어미
2.2. 감탄법어미
2.3. 의문법 어미
2.3.1 ‘라’체 의문법어미
2.3.2 반어의 의문법
2.4. 공동법어미
2.5. 명령법어미
2.5.1 청원의 명령법
2.6. 약속법어미
2.6.1 허락법어미
3. 나오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활용어간의 교체
1. 계사 어간 ‘-이-’의 활용
2. 동사·형용사 어간의 활용
Ⅱ. 선어말어미
1. 경어법 선어말어미
2. 시상법 선어말어미
3. 의도법 선어말어미
4. 감동법 선어말어미
Ⅲ. 어말어미
1. 정동사어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어미는 3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동명사어미, 부동사어미, 정동사어미 등이 그것이다.
신라어 자료에 보이는 선어말어미와 파생접사에는 등이 보이는데, 이는 중세국어와 많은 일치를 발견할 수 있다.
(3) 어휘
신라어의 어휘는 중세국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동사어미 '-다', 선어말어미 '-도-', 과거의 선어말어미 '-더-'등은 계사(繫辭) 뒤에서 각각 '-라, -로-, -러-'로 변하였다.
Ⅲ. 결론
중세국어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14세기에 그 음운체계에 현저한 변화가 일어났다. 후기 중세국어 특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
1) 동명사 어미 : ‘-ㄴ’, ‘-ㄹ(ㄹㅎ)\', \'-ㅁ\', \'-기’등이 있었다.
2) 부동사 어미 : 현대국어의 그것과 같이 매우 다양하였다.
3) 정동사 어미 : 서법을 나타내는데, 설명법, 명령법, 의문법, 감탄법의 네 가지 사법이 있었 다.
4. 계사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