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4.3연구소, 2002
김순태 - \'제주4·3사건 위원회\'의 활동과 평가,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03
이재승 -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에 대한 평가,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04
제주4.3연구소 - 4·3역사문화 교육연수프로그램, 2010
허상수 - 정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 4.3 사건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반드시 우리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고 살아야하며 다시는 이러한 참사들이 일어나지 않게 우리부터 잘해야 한다. 또한 우리는 교과서에서 배우는 역사가 시험에 나오는 중요한 사건 아니면 시험에 나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 4.3 3 - 허영선
근대성과 폭력: 제주43의 담론정치 - 김성례
43이후 50년, 역사문제연구소 외편- 김종민 1. 제주43사건 이란?
2. 제주43사건 사건배경과 발생원인
3. 제주43사건 특징과 의의
4. 제주43사건 전개과정
5. 제주43사건의 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900원
- 등록일 2019.08.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피해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국가긴급사태(비상사태)
1. 비상사태 및 국가긴급권의 의미
2. 4·3 당시 소위 ‘계엄하’의 실태와 계엄의 한계·내용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문화운동
1. 추모?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제주4·3평화재단(https://jeju43peace.or.kr). Ⅰ. 서론
Ⅱ. 본론
1. 4.3 사건의 역사적 배경
2. 내가 직접 찾은 역사적 현장
1) 선흘 낙선동 성터
2) 북촌국민학교
3) 4·3평화공원
Ⅲ. 맺음말
Ⅳ. 참고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