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백자항아리』. 서울:이대박물관, 1985.
鄭良謀 감수. 『白磁』(韓國의 美 2). 서울:중앙일보사, 1981.
-----. 『韓國의 陶磁器』.藝出版社, 1997. 1. 들어가며
2. 백자란
3. 조선백자의 성립과 시대배경
4. 조선백자의 종류
1) 순백자
2)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백자에 있어서 고전적인 유백색, 설백색의 백자와 간결한 청화백자가 제작되었으며 그 제작의 중심이 광주의 금사리와 분원리였다.
1700년을 전후해서 백자의 색이 회백색에서 유백색, 설백색으로 바뀌고 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자로 변모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Ⅰ. 청자
1. 청자의 기법
2. 고려청자의 발달 과정 및 쇠퇴
(1) 전기(발전기)
(2) 중기(성기)
(3) 후기(쇠퇴기)
3. 고려청자의 특색
Ⅱ. 백자
1. 백자의 기법
2. 조선시대 백자의 발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애국 계몽 운동 시기에 근대 계몽 사학이 성립되어 구국 위인 전기와 외국 흥망사가 많이 발간되었고, 이는 일제 시대 한국사의 발전 주체가 우리 민족임을 강조하면서 식민주의 사학의 허구성을 밝히는 민족주의 사학으로 계승되었다.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12,6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막사발 천년의 비밀, 한길아트>>, 2001
<참고논문>
백부흠, <조선 백자의 발생 시기에 관한 검토>, 부산경남사학회, 역사와경계 제55집, 2005
장남원, <조선시대 후기 백자의 새로운 경향>, 한국미술사학회, 1989 Ⅰ. 머리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