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직
남곤(사장파); 둘 다 공존해야 한다-수동적, 논리적인 토대가 없었다.
7. 사장파의 등장은 사회발전의 자연스런 산물이라 할 수 있다. 문학의 발전 1. 한글창제
2. 악장
3. 국악의 정비
4. 시조
5. 가사론
6. 도학파와 사장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개론, 경인문화사
현종호, 가사집, 한국문화사
김경식, 김재현, 시조 가사론, 예전사
김규태, 가사文學논주, 명문당 1. 시조(時調)
(1) 명칭과 개념
(2) 기원
(3) 범주와 갈래
(4) 작품과 자료
(5) 작품성격
(6) 음악적 성격
2. 가사(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명종
▶해설 배꽃이 흩날리던 때에 손잡고 울며 헤어진 님, 가을 바람에 낙엽지는 것을 보며 나를 생각하여 주실까? 천 리 길 머나먼 곳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는구나.
▶감상 노래와 거문고와 한시에 능했던 전북 부안의 명기 계낭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절로 존다.
언의 뉘 이 죠흔 을 알 리 잇다 리오.
< 출전 > 해동가요 <연대> 조선 영조
▶해설 초가 암자가 적적하고 고요한데, 찾아오는 벗 하나 없이 홀로 앉아, 평조의 노래 한 葉(엽)을 읊으니 흰 구름이 (알아듣는 듯) 제 스스로 졸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의 시조 문학
◈ 제목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작 자 : 이 황
이런 엇다며 뎌런 엇다료.
草野愚生(초야우생)이 이러타 엇다료.
며 泉石膏(천석고황)을 고텨 무슴료.
<言志1> ▶ 천석고황
春風(춘풍)에 花滿山(화만산)고 秋夜(추야)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