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상(고산의 자연관)
(3) 고산 윤선도의 작품 세계
(4) 고산 윤선도의 업적 및 문학사에 미친 영향
3. 면앙 송순(俛仰 宋純)
(1) 면앙 송순의 생애
(2) 면앙 송순의 작품에 드러나 있는 특징
(3) 면앙 송순의 삶의 철학
(4) 송순의 면앙정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의 주요작가
조윤제는 조선후기 시조 문학의 시대를 구분을 선조 임진왜란 - 경종대까지를 발전시대로, 영조 - 고종 갑오경장까지를 반성시대로 분류하였고, 발전시대의 시조문학은 학자의 역영, 당쟁 당쟁상심가, 兵亂 義士의 충의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1998), 격변기에 산출된 강호미학의 정점-고산 윤선도, 한국 고전문학 작가론, 소명출판
박성의(1968), 송강·노계·고산의 시가문학, 현암사
원용문(1989), 윤선도문학연구, 국학자료원
이정자(2003), 시조문학 연구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는 대충 시대순을 따랐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이 있으며, 이것이 동국대학교에서 낸 국어국문학 자료총서 제5집 \'시조자료집성\' 속에 포함되어 있다.
(6) 남훈태평가
편찬자, 편찬 연대, 판각 연대 미상의 조선 가곡집으로, 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시대 시조의 변이
1. 사대부 시조의 재정비
1) 고응척(1531-1605)
<대학곡> 28수에서부터 연시조 지향하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권 대학책이 엇디 야 됴 글고
2) 장경세(1547-1615)
<강호연군가>13수를 지난연군가의 선례와는 다르게 애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