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요와 그 지방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천안삼거리 - 경기민요
② 강원도아리랑 - 서도민요
③ 박연폭포 - 농부민요
④ 강강술래 - 제주민요
⑤ 오돌또기 - 남도민요
객
관
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요) - 경복궁타령, 한강수타령, 방아타령, 도라지 타령 등
2. 육자배기조(남도민요) - 진도아리랑, 새타령, 강강술래, 농부가, 시나위, 판소리
3. 메나리조(동부민요) - 정선아리랑, 어랑타령, 옹헤야, 쾌지나 칭칭나네 등
4. 수심가조(서도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악5,6학년 제재곡 출판사별 비교 <표>
1.국악곡
- 남도민요
- 서도민요
- 동부민요
- 제주민요
- 기타
2.시조창
3.국악 감상곡
4.일반곡
5.감상곡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3.24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기민요
1-2 아리랑
Ⅱ 本 論
1 조사과정
1-1 조사 동기
1-2 조사 장소
1-3 조사 일시
2. 採 錄
2-1 채록과정
2-2 채록 내용
2-2-1 경기민요
2-2-2 아 리 랑
가 정선아리랑
나 진도 아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9.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요의 음계
1. 경(기)토리권 민요의 음계
2. 서도토리권 민요의 음계
3. 육자배기토리권의 민요의 음계
4. 메나리토리권 민요의 음계
5. 제주도토리권의 음계
Ⅶ. 민요의 남도민요
1. 육자백이
2. 자진 육자백이
3. 삼산은 반락
4. 개고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8.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94
이보형, 마을굿과 두레굿의 의식구성
韓國의 巫俗 音樂
학 과
초등 음악 교육
지도교수
박 균
학 번
9 9 2 0 7 0 7
성 명
장 성 자
발 표
1999. 7. 1. 굿
가. 무당
나. 굿의 종류
다. 굿의 구조
2. 무속 음악
3. 지방별 무악의 구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도의 판소리와 민요가 된목을 써서 진하고 걸쭉하게 구사되는 반면에 웃다리 지방의 잡가나 경기민요가 단아하고 고즈넉하면서도 구성진 맛을 내는 점을 떠 올리면 웃다리풍물굿가락의 특징도 짐작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 정리한 웃다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조를 칠언절구로 한역하였다. 또 가사의 경우 成海應, 奇正鎭, 宋達洙 등의 송강가사 한역과 金逈洙의 <月餘農歌>가 이루어졌으며 李學逵, 권용정, 정현석 등의 잡가와 민요한역가도 나왔다. 이처럼 이시기의 특징으로 100수 이상 되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가사
3. 강원도 민요의 특징
Ⅳ. 정선아리랑
1. 특징
2. 가사
Ⅴ. 진도아리랑
1. 악곡해설
2. 가사
1) 받는소리
2) 메기는소리
3. 남도 민요의 특징과 종류
1) 특징
2) 종류
Ⅵ. 밀양아리랑
1. 특징
2. 가사
3. 관련 전설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잡가의 향유 범위는 종래 시조와 사설시조는 물론이거니와 민요의 신분적 지역적 제약성에도 비교가 안될 만큼 널리 확대되어 갔다. 이른바 조선 후기 대중 가요로 발전해 간 것이다. 이후 20세기 들어서도 잡가는 변화된 환경에 민첩히 대응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05.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