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선종사』 대북:자인
양증문 교사(1993) 『돈황신본 육조단경』 상해:상해고적출판사
양증문(1999) 『당오대선종사』 북경;중국사회과학출판사
구택대학 『선학대사전』 편찬소[편](1985) 『신판 선학대사전』 동경:대수관서점
유전성산 [편]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사 沖本克己 지음 佐藤繁樹 옮김 불교시대사 1993.
4. 禪詩와 함께 엮은 莊子 金 達鎭 역해 고려원
5. 老子 그 불교적 이해 山德淸 송찬우 옮김 세계사 1990.
6. 불교와 노장사상 森三樹三郞 지음 오진탁 옮김 경서원 1992 1. 들어가면서
2. 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사 연구가 가장 눈부시다. <중국선종사>, <선종종파원류>, <당 5대 선종사>등이 대표적 결과물이다. 또한 불교학술 회의도 각지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밖에도 중국문화계에서는 <법음>, <불교문화>, <선>, <상해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04.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선만을 지칭한다. 황당선이 근해에 출몰하는 것은 일본과 무역왕래 하거나 원양에서 어로하다가 풍랑을 만나 표류하거나 우리나라 근해에 와서 해초를 채취해 가는 어로 행위를 하기 위에 적극적으로 접근 했다. 이 황당선은 대개가 등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하여 간화선법이 시행되어 왔으며, 결국 오늘날 한국의 선종법은 간화선이 그 주류를 이루게 된 것이다. 1. 선사상(禪思想)이란?
2. 인도의 선(선의 원류)
3. 선의 어의
4. 선정의 전개
5. 중국선의 전개
6. 한국의 선종사상
인도, 중국, 한국의 선사상 인도, 중국,한국의 선사상, 인도,중국, 한국의 선사상 인도,중국,한국의 선사상, 인도, 중국, 한국의 선사상,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