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세에 차용된 것도 있을수도 있다. 정양욕은 중국어 차용어의 흥미있는 일면을 지적하고 있다. 즉 ‘보리’를 예로 들면 중국의 보리의 차용임에도 불구하고 ‘보리’라는 발음에 맞는 한자를 찾아 우리나라에서는 ‘菩里’라고 표기했다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정서법의 이해 리포트
Ⅰ. 국어 종성 표기의 변천사 정리 (중세-근대-현대)
국어 종성의 표기역사는 넓게 잡으면 한자에 의한 문자생활이 시작된 때로 보아야 하겠지만, 진정한 의미의 국어 종성의 표기법 역사는 훈민정음 창제 때부터 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은 훈민정음 창제를 기준으로 크게 훈민정음 창제이전의 借字表記法, 훈민정음 이후의 중세국어 표기법과 근대국어 표기법, 현대국어 표기법으로 구분하여 변천되어왔다.
한자가 우리 나라에 들어온 이래로 그 한자를 이용하여 국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04.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의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중세국어 표기법
2.1. 음소적 원리
중세국어에서 표기법의 원리를 소리 중심으로 한 것은, 말소리 그대로 쉽게 옮겨 적도록 하기 위한 실용성에 바탕을 둔 원리이다.(표음적 표기법) 훈민정음의 창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표기법
15세기 국어의 표기가 잘 나타난 문헌은 ‘훈민정음’이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전면적 표기가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명확한 규정이 없이 전통적 표기 관습을 따랐고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이 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