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견
1. 중재재정 대상에 대한 사견
중재재정의 대상과 관련하여 위 판례 (94누 9177) 에서는 근로조건에 관한 분쟁만이 노동쟁의가 되고 노동쟁의가 직권 중재재정 대상이 된다고 하였다. 다섯 명 전원 판례와 같은 의견이며, 그 의견으로 “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재재정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자에 대하여 근로계약에 따른 근로제공의무를 면제받고 오직 노동조합의 업무만을 담당하는 노조전임제는 노동조합에 대한 편의제공의 한 형태로서 사용자가 단체협약 등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상조치론에 대한 판단
3) 현실적인 필요성에 대한 판단
4. 직권중재 제도는 제도운영상으로 많은 문제점
5. 직권중재 제도는 현장 노사관계 악화의 주범
6. 직권중재를 폐지해도 파업은 늘어나지 않는다
Ⅴ. 향후 직권중재제도(중재재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재 또는 조정적 중재 제도 도입 필요,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용만(2003) : 필수공익사업 직권중재제도에 관한 연구, 중앙노동위원회
최규승(2004) : 직권중재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희대학교 Ⅰ. 개요
Ⅱ. 중재재정제도(직권중재제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재의 의의
1. 중재의 의의
2. 관련 주요 판례
Ⅱ. 중재의 대상
1. 중재의 대상
2. 중재 대상 관련 주요 판례 검토
Ⅲ. 중재재정의 효력 및 유효기간
1. 중재재정의 효력
2. 중재재정의 유효기간
3. 중재재정의 유효기간 및 효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