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외교사 2』, (서울: 집문당, 1993).
方秀玉, 『중국의 외교정책과 한중관계』, (서울: 인간사랑, 2004).
구대열, “일제 식민지 시기 한반도의 국제관계”,『國際政治論叢』, Vol.29 No.1(1989).
김경록, “사학부(史學部) : 조선시대 국제질서와 한
|
- 페이지 8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4.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화제국질서의 동요>. <<강좌중국사Ⅴ>> (서울대 동양사 연구실 편). 서울: 지 식산업사, 1989.
柳栽澤. <開港期 朝鮮의 國際關係와 反從屬論> 박사학위논문. 서울: 檀國大 大學院, 1993.
박진평. <한국 개항기 대외통상정책에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론의 주장은 분명 구시대적인 한계가 있었고, 이 사상에는 근대적 민권이나 교육 그리고 언론문제 등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어 있었으며, 민주주의적 국정개혁론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p3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문과의 지식의 교류 또는 문인들과의 강학에서도 드러나고 있음을 앞에서도 일부 언급하였다.
참고문헌
◇ 강병수, 조선후기 근기남인의 대중국관 연구, 국사편찬위원회, 1999
◇ 부유섭, 17-18세기 중반 근기남인 문단 연구, 한국학중앙연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속화 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05.
Ⅱ-3. 채지영, 「신한류 발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기본연구』, 제21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Ⅱ-4. 조유진, 「최근의 한류 현황과 활용전략」, 무역연구소 보고서, 2004.
Ⅲ-1. 2011년 국정감사 정책자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2.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