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紙榜을 붙이고 제사를 지냈다. 제사상에는 기본적으로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셋째 줄에 탕, 넷째 줄에 적과 전, 다섯째 줄에 메(밥)와 갱(국)을 놓는다. 그러나 제사상 차림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기제사 준비(忌祭祀 準備)
1. 수축, 지방, 점촉(修祝, 紙榜, 点燭)〔이서위상, 천원지방 (以西爲上, 天圓地方)〕
2. 설위(設位)
3. 진설(陳設)
4. 강신례(降神禮)
5. 참신례(參神禮) : ?일동재배(一同再拜)?
6. 초헌례(初獻禮) : 좨주(祭酒)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紙榜)
제사 지낼 때에는 지방을 쓰는데. 제사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대신으로 사용 하였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한다. 그 내용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조상과의 친속관계, 조상의 관직(여성은 봉호), 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과 축문
7.제례의 절차
8.제례의 현대적 의의
수연례(壽宴禮)
1.수연례의 정의
2,수연례의 종류
3.의식준비
4.회갑연의 주된 절차 및 식순
5.생신제와 사갑제
※ 참고문헌 제례(祭禮)
1.제사의 의미
2.제사의 종류
3.제구와 제기
4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방(紙榜)을 써서 교의에 모신다.
지방의 서식은 다음과 같다.
① 아버지일 경우 : 현고(懸鼓) 모관부군(某官府君) 신위(神位)
) 아버님 무슨 벼슬을 지내신 어른 신위라는 뜻
, 할아버지이면 顯祖考, 증조할아버지이면 顯曾祖考로 쓰며, 某官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3.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