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令人煩躁嘔昏悶 或瘡出靑水穢汁者 腎虛極也 砂仁 至速 此瘡 極慮引風 凡癰疽 開一寸則一寸引風 非必風入於其中 風邪襲虛則肉爛透骨 惡血橫流 宜南星半夏白芷 梢最能去風 可以頻敷 其諸療理 推廣癰疽法度 行之 다골저
번화창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에 붙이면 좋다.
生濕地朽木上。
마발은 습지와 썩은 나무위에서 생긴다.
狀如肺肝,紫色虛,彈之粉出,取粉用。
마발은 폐와 간과 같은 형상으로 자색으로 비고 연하며 튕기면 가루가 나오니 가루를 취하여 사용한다.
木鱉子
목별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개
(除濕疸。)
형개는 습달을 제거한다.
麗春草
여춘초
(療時患變成 (가슴병, 멍들다 음; -총16획; yin)
黃疸,采花末服;根杵汁服,取利。)
여춘초는 치료시 질환이 음황달로 변성하니 꽃을 딸 때 가루로 복용한다. 뿌리를 찧어서 즙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개, 방풍, 독활, 감초, 당귀, 적작약, 황련, 길경 각각 20g, 서리를 맞은 사과락 길이 5촌짜리 2개를 불에 태워서 보존하고, 앞의 약을 반드시 예방하여 정밀한 것인지 변별하라.
遇春分 秋分 上元 七夕이어던 忌婦人 猫犬하고 誠心修製하야 爲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창양은 3경락이 습열의 병이다.
活血排膿.
백지는 혈을 활발케 하며 농을 배출케 한다.
(腸有敗膿血,淋露腥穢,致臍腹冷痛,須此排之).
장에 패한 농혈이 있으면 임증에 비린냄새가 노출되며 배꼽과 배가 차고 아프니 반드시 백지로 배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