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봉
여호규 - 한국 고대 국가와 중국 왕조의 조공 책봉관계 명과 조선의 조공 책봉관계
1. 머 리 말
2.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 질서 속에서의 조선
3. 朝 · 明 조공무역과 중국문물의 유입
4. 명의 문물유입과 조선의 문화발전
5.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4.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노태돈, 「나·당전쟁과 나·일 관계」, 역사학회 지음,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李炳銑, 『任那國과 對馬島』, 亞細亞文化社, 1987
金錫亨, 『고대한일관계사』, 한마당, 1989
김인배·김문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는 나라.(=속방)’ 이다. 네이버 사전
역사학자들이 보는 속국의 의미를 보자.
전해종 교수님의 의견을 정리하면, 속국(혹은 번국 藩國)이라 함은, 종주국의 책봉을 받아들이는 대신 종주국의 패권을 인정하고, 종주국과 조공 및 회사(回賜,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7.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바람직하다.
- 따라서 우리는 기존의 다분히 서구적이고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을 버리고 새로운 동아시아 질서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1. 전통시대 중국중심의 동아시아 질서
2. 유교문명권
3. 중화사상
4. 조공책봉제도
5. 결 론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라의 군대를 여러 번 깨트릴 정도로 강성하기 때문이다. 즉, 백제 멸망 이후에 백제고토는 백제부흥군 당 신라가 나눠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3. 책봉관계의 등장과 소멸에 대하여
책봉관계의 등장과 소멸만 봐도 책봉이 왜 나타나고 소멸했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3.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