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 이미 한령곤과 백연우 두 사람은 만나서 곧장 병사를 이끌고 갔다.
唐主璟屢接敗報, 是惶急, 特遣泗州牙將王知朗, 奉書周主, 情願求和。
당주영루접패보 흔시황급 특견사주아장왕지낭 봉서주주 정원구화
당나라 군주 이영은 자주 패배보
|
- 페이지 71페이지
- 가격 12,000원
- 등록일 2017.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천웅절도사 중신회의 견맹한경소지
이 때 송왕 이종후는 천웅절도사가 되어 여러 신하가 회의를 하니 맹한경을 보내 부르게 했다.
唐主乃召馮道聽詔, 囑以後事。
당주내소풍도청조 촉이후사
당나라 군주는 풍도를 불러 조서를 듣게 하며 훗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4.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양신 위충정군절도사 관할수주 자솔친군환도 류이중진등진공호주
따로 우우림통군 양신을 파견해 충정군절도사로 삼아 수주를 관할하게 하며 자신은 친위군을 인솔하고 도읍에 돌아가 이중진등을 남겨 호주를 진공하게 했다.
欲知濠州能
|
- 페이지 66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7.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제 개혁은 부병제와 같은 징발이 아닌 소모에 의한 모병제를 실시하였다. 모병제의 실시로 군은 유민, 도호, 객호와 같은 계층을 흡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군제의 변화는 변경을 방어하던 번진을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시켰다. 특히 절도사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로 성주, 장군이라 칭하면서 사병을 보유한 군사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들의 대립과 반목은 후삼국의 분열을 초래하였으나, 고려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었다.
당 말에 국경 지방의 군 사령관으로 등장한 절도사들의 발호로 당이 멸망하고,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