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준비금
④
실제 또는 총 지급 준비금
⑤
초과 지급준비금
(④-③)
⑥
은행의 대출여력 = ⑤
⑦
신용승수
=1/(1)
⑧
창조가능한 최대 통화량 = ⑥X⑦
(1) 10
2,000
200
500
300
300
10
3,000
(2) 20
2,000
400
500
100
100
5
500
(3) 25
2,000
500
500
0
0
4
0
(4) 50
2,000
1,000
500
-500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3.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폐
- 화폐량money stock의 정의
- 상업은행 대출과 화폐의 창조
- 중앙은행
- 초과준비금의 확산
- 연방준비은행이 사용하는 수단
- 누가 정말 책임을 지고 있는가?
- 왜 은행은 준비금을 보유해야 하는가?
- 금은 어떠한가?
- 요 약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2.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준비금이나 연방기금금리(이자율), 차입준비금을 운영목표로 사용할 때 경기동반적 통화공급을 유발하기 쉽다. 경제가 호황에 있을때는 일반적으로 이자율이 상승하게 된다. 이자율의 상승은 초과준비금에 대한 기회비용을 상승시킴으로 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0.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살펴본 바와 동일하다. 즉, 필요지불준비율은 일정한 초과지준금하에서 가능한 신용창조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를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내면,
최초의 초과지불준비금 = 필요지불준비율 x 최초의 요구불예금
이며, 이를 정리하면,
총요구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여 이자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때 적용하는 이자율을 재할인율이라 한다. 바로 이 재할인율을 변경시킴으로써 중앙은행은 은행의 초과지불준비금에 변화를 주어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제 일반은행이 차용증서를 발행하고 중앙은행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