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지 30집 3호, 1996
안병만, 미일 안보협력관계의 발전과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 국토통일원, 1977
*목 차
1. 들어가며-동북아 안보질서에 대한 개관
2. 주일미군의 역사적 전개
1) 초기 주일미군의 규모
2)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군의 다섯가지 과제 가운데 가장 우선한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행정부의 이같은 정책 기조는 지난해 3월 발표한 \'4개년 국방전략 검토보고서(QDR)에 근거한 것이다.
국방부는 지난해 3월 의회에 제출한 2015∼2019년 QDR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일미군과 자위대의 역할분담에는 한반도 뿐만 아니라, 대만유사시 미군과 자위대의 공동작전계획, 상호협력계획이 중점논의 사항이다. 이에 더해, 유사시 미군이 사용할 수 있는 일본 내 공항항만민간시설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함으로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일미군 감축요구에 대응)
- 53~54년에 걸친 한국군 창설, 한미 양군의 방어편성은 미군이 서울 이북의 서부전선에 집 중 배치함으로서 미국의 자동개입을 보장하는 \'인계철선\' 역할을 하기 위한 것
- 57년 미국의 한국군 규모 감축 요구 (주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모
Ⅳ.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영향
1.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에 미치는 영향
2. 국방장관회담의 재개와 정례화
3. 북한 위협 평가의 변화
4. 미북관계 전망
5. 재래식 무기협상
6. 한미동맹과 주한미군과의 연관성 문제
7.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