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만리
드디어 부제학 최만리,
遂 下 副 提 學 崔 萬 理
드디어 내릴 버금 끌 배울 높을 일만 다스릴
수 하 부 제 학 최 만 리
直提學辛碩祖. 直殿金汶. 應敎鄭昌孫.
직제학신석조 직전김문 응교정창손
직제학 신석조, 직전 김문, 응교 정창손
|
- 페이지 4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대 상소문>과 <훈민정음 해례 서문>(12강)에서 언급한 공통 논제들을 비교하면서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3-1.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과 <훈민정음 해례 서문>의 공통 논제 정리
3-2.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본인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5.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 연구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연세대 교육대 학원.
권오돈(2004), 「홍길동전 교육 방안 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2004
김일렬(1988), 「홍길동전의 구조와 의미」, 국어국문학 99호, 국어국문학회.
(2003), 『고전소설신론』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소문이 도중에 정 한담 등에게 들어가 옥에 갇히게 되고 집안 사람 모두가 잡히게 되자, 충렬은 도망하고 소씨 부인은 자결을 하며, 충렬의 부인은 죽으려다 관비에 의해 살아나나 관비의 강요로 정절을 지키며 산 기생 노릇을 하며 살아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대 상소」. 『내일을 여는 역사』,
이숭녕 (1964). 「최만리 연구」. 『(이상백박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세종실록』 권103, 세종 26년 2월 20일자 기록. 목 차
1. 서 론
2. 본 론
2.1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의 주요 논지
2.2 『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5.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