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만리
드디어 부제학 최만리,
遂 下 副 提 學 崔 萬 理
드디어 내릴 버금 끌 배울 높을 일만 다스릴
수 하 부 제 학 최 만 리
直提學辛碩祖. 直殿金汶. 應敎鄭昌孫.
직제학신석조 직전김문 응교정창손
직제학 신석조, 직전 김문, 응교 정창손
|
- 페이지 4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창제과정의 어려움
Ⅲ. 사료 원문 : 세종실록 세종26년 2월 경자 庚子/集賢殿副提學崔萬理等上疏曰
Ⅳ. 최만리 등 7인의 반대상소와 그에 대한 평가
Ⅴ. 맺음말(훈민정음 창제의 의의 와 결과)
Ⅵ. 참고문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4.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대 상소문에 대해 반대한다.
최만리 외 여러 관료들은 그 당시의 지식인이고 정치인인데, 이해가 되지 않는 억측들로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문을 올린 것을 보면 비판받아야 마땅한 인물들이란 생각이 든다.
내가 보기에 훈민정음 창제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대 상소」. 『내일을 여는 역사』,
이숭녕 (1964). 「최만리 연구」. 『(이상백박사) 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세종실록』 권103, 세종 26년 2월 20일자 기록. 목 차
1. 서 론
2. 본 론
2.1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의 주요 논지
2.2 『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5.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대 상소문>에서 제시된 반대 의견은, 양반으로서의 기득권 유지와 사대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어 백성의 현실적 어려움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다.
5. 참고문헌
임유경·박종성·이호권, 『글과 생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