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원이 취하고 있는 ‘동기설’을 적용 했을 때, 위 사례의 계엄령의 해제는 소요가 발생하여 발생한 일시적 위급상태가 호전되어 실효 된 것이므로 계엄 포고령의 추급효는 긍정된다. 따라서 ‘갑’의 집회참가행위는 처벌 대상이 된다.
학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에 불과한 경우에 있어서는 후일 그 법령이 개폐되었다 하더라도 행위당시의 형벌법령에 비추어 그 위반행위를 처벌하여야 할 것이다고 판시한 사례가 있다.(대판 1987.3.10. 86도42) 1. 의의
2. 한시법의 추급효 인정여부
3. 백지형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추급효문제와 동일한 근거에서 추급효를 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형법상 한시법 및 백지형법의 인정 여부
1. 한시법의 문제
1) 문제의 개요
2) 한시법의 의의
3) 한시법의 추급효문제
2. 백지형법의 시간적 적용범위 이슈
1) 백지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효)를 인정해야 한다는 이론, 즉 한시법의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외형상으로는 재판시법에 포함되는 듯이 보이나, 정책상 재판시법( 1 제2항 )을 적용할 수는 없고, 행위시법( 1 제1항)을 적용해야 한다는 이론
2. 한시법의 추급효 인정여부 (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약하다는 점에서 피고인에 대한 처벌은 불가피하다는 생각이다. 1. 사실관계
2. 판시사항
3. 판결요지
4. 원심판결 VS 대법원판결
1)원심판결
2)대법원판결
3)비교분석
5. 학설
1) 추급효인정설
2) 부정설
3) 동기설
6. 사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