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것에 불과한 경우에 있어서는 후일 그 법령이 개폐되었다 하더라도 행위당시의 형벌법령에 비추어 그 위반행위를 처벌하여야 할 것이다고 판시한 사례가 있다.(대판 1987.3.10. 86도42) 1. 의의
2. 한시법의 추급효 인정여부
3. 백지형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제논단, 한시법에 관한 소고, 김대희
2) [네이버 지식백과] 한시법 [限時法] (법률용어사전, 2016. 01. 20., 이병태) 1. 서론
2. 본론
- 추급효 부정설
- 추급효인정설
- 동기설의 개념 및 문제점
- 추급효 인정 여부에 대한 통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제 수단으로 악용
2) 가압류의 대상, 범위, 금액의 무분별한 확대
3) 사용자의 일방의 소명만으로 이루어지는 가압류 처분의 과도성
3. 노동분쟁에 대한 손해배상 주체
1) 노동조합
2) 노동조합 임원
3) 일반 조합원
4) 소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률개폐의 이유가 제1항 행위의 가벌성에 대한 법률적 견해의 변경이면 추급효를 부인(처벌불가), 제2항 사실관계의 변경이면 추급효 인정(處罰 可).
3. 판례의 동기설
[판례] 형법 1 제2항 의 규정은 형벌법령 제정의 이유가 된 법률이론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신법)주의
18. 한시법
19. 추급효인정설(적극설)
20. 추급효부인설(소극설)
21. 동기설(절충설)
22. 백지형법
23. 형벌의 장소적 효력
24. 속지주의
25. 속인주의
26. 보호주의
27. 세계주의
28. 형벌의 인적 효력
29. 형법이론
30. 형벌이론
31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