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 뽑스린목 : 평탄하게 나가다가 휘잡아 뽑아올리는 목소리
22. 엎는목 : 소리를 바로 하여 나가다가 한번 엎치어 보는 목소리
23. 젖힌목 : 평범한 소리로 하던 것을 옆으로 젖히는 목소리 청
성음
성음의 종류
성음의 종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의 장단
1. 진양(진양조)
2. 중모리(중몰이, 중머리)
3. 중중모리(중중몰이, 중중머리)
4. 자진모리(잦은모리, 잦은몰이, 자진머리)
5. 휘모리
6. 엇모리
Ⅵ. 판소리의 성음
Ⅶ. 판소리의 판소리론교육
Ⅷ. 판소리의 명창 송만갑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에서 ‘남원골 한량’·‘이도령 춘향 달래는 대목’을 들 수 있다
10. 판소리의 성음
⑴ 득음
판소리를 부르려면 판소리를 할 수 있는 성음이 나와야 하는데 이 성음은 우선 평상시 자기의 성음이 아닌 목소리를 말하는 것이다.
득음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오는 대목에 흔히 쓰인다. 경드름으로 유명한 대목은 〈춘향가〉에서 ‘남원골 한량’·‘이도령 춘향 달래는 대목’을 들 수 있다
. 판소리의 성음
(1) 득음
판소리를 부르려면 판소리를 할 수 있는 성음이 나와야 하는데 이 성음은 우선 평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소리의 조
1) 우조(우조길)
2) 평조(평조길)
3) 계면조(계면길)
4) 설렁제(덜렁제)
5) 경드름
6. 판소리의 발성법과 성음 음악
7. 판소리의 종류
1) 춘향가
2) 심청가
3) 홍보가
4) 수궁가(토별가)
5) 적벽가(일명 화용도 타령)
6) 변강쇠가(가
국악 잡가, 판소리 민요,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