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나를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자가 아직 있지 않았느니라. 군자는 근본(효제충신)을 근본이 서면 갈 길이 생기나니 효제라는 것은 그 인을 행하는 근본이라고나 할까. 학이편-위정편-팔일편-이인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11.01.19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의 정신 -\'예기\' 제사 류의 제사의식을 중심으로 / 박례경
- <논어 : 팔일편> 의 일부 구절
- <효경> 의 일부 구절 1.문제제기
2.제사의 유래
3.유교와 제사
4.제사와 유교적인 마음가짐
5.제사와 다른 종교
6.맺음말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팔일 26) 본래 당시의 귀족들이 지켜야 하는 행동의 형식적 규범이 얼마나 엄격하였던가는 우리가 「예기(禮記)」에 쓰인 행실의 도리들을 읽으면 알 수 있다. 그 한 가지만을 보면 이런 것이 있다.
무릇 손님을 인도해 들어가는 이는 문마다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팔일편, 이인편)에서 묘사하는 ‘군자’의 면모를 자기 견해를 서술하였다.
II. 본 론
1. 배우는 사람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배운다(학습). 살아가면서 배우고, 배우면서 살아간다. 인생 대학에 졸업자 없고 배움에는 끝이 없다. 배움이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400원
- 등록일 2022.03.16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영혼이나 신이 눈에 보였기 때문에 그랬을 것이라고도 한다. 보이지는 않더라도 정으로 서로 통할 수 있는 것을 믿었기 때문에 그랬을 것이다. 그러나 공자는 감사의 제사는 드렸어도 복을 빌기 위한 제사는 드리지 않았다. 그것은 귀신을 공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6.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