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새물결 출판사.
노성환(1997), \"젓가락 사이로 본 일본문화\", 교보문고.
김자경(1998), \"공격적인 포크문화 수동적인 젓가락문화\", 자작나무.
조우지후아(1998), \"중·일 젓가락 습속 비교 연구\", 국제아세아민속학회. Ⅰ. 서 론
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견됨 1. 젓가락 (Chopsticks)의 기원 연구의 한계점
2. 젓가락의 기원
3. 한국과 일본, 중국의 젓가락 비교
4. 젓가락과 포크 비교
5. 먹는 도구에 따른 문화권의 특징
6. 젓가락의 기능
7. 젓가락의 우수성
8. 한국의 디지털(Smart) 음식문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2.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격적인 포크문화 수동적인 젓가락 문화」김자경 지음
「生活茶禮」강성금 지음 1.모험의 시기
1)차의 도입 경로
2)차를 소개한 사람들
2.차문화
1)한국의 차문화
2)영국의 차문화
3.차문화에 대한 나의 견해
자료출처목록-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화』원융희, 자작나무
『생활 속의 일본 문화』다다미치 다로, 한림신서
『젓가락 사이로본 일본문화』노성광, 교보문고
『섣불리 일본을 말하지 말라』후카사쿠 미쓰사다, 서울기획
『공격적인 포크문화와 수동적인 젓가락 문화』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젓가락문화
1. 젓가락의 역사
나라마다 민족마다 제각기 독특하고 고유한 음식문화가 있기 마련인데, 세계적으로 수식(手食)문화가 40%, 포크문화 30%, 젓가락문화가 30%를 차지하고 그 중 젓가락은 한중일 세 나라가 오랫동안 공유해 왔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