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에서는 모든 유성음(모음 포함) 뒤에 사잇소리를 붙여 썼음을 볼 때, 사잇소리의 근본 기능이 낱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휴지(休止)의 성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제7장 소리의 첨가》
(해설) 예로부터 발음 습관에 따라, 또는 발음의 용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4.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음 형태를 중시하여 ‘강남콩, 삭월세’등은 ‘강낭콩, 사글세’등으로 표준어를 삼았다.
나. 그 동안 용법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규정해 온 것 중 그 구별이 어려워 혼란을 일으켜 오던 것을 정리한 것이다. 종전에는 의미를 구별하여 쓰던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 규정>은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2부 표준 발음법으로 구성되어 있다.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은 1986년 1월 문교부 고시 제85-11호로 시행되었다. 1933년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새 문자나 부호를 사용하지 않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 정책
4. 교육부의 표준어 정책
5. 문화부의 표준어 정책
Ⅵ. 표준어(표준말)의 문제점
Ⅶ. 표준어(표준말)의 오용 사례
Ⅷ. 향후 표준어(표준말)의 개선 방안
1. 공통어는 있어야
2. 표준어 사정의 방법이 달라져야
1) 언어 사용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1. 자모 명칭과 배열법
2. 두음법칙
3. [ㅔ]로 소리나는 ‘ㅖ’
4. ‘이오, 아니오, -시오 ’등
Ⅴ. 북한어(북한언어, 북한말, 문화어)의 표준어(문화어)
1. 문화어발음법
1) 소리의 길이와 높낮이
2) 한자말의 ‘ㄴ’, ‘ㄹ’ 소리
3) ‘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