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에서는 모든 유성음(모음 포함) 뒤에 사잇소리를 붙여 썼음을 볼 때, 사잇소리의 근본 기능이 낱말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휴지(休止)의 성립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제7장 소리의 첨가》
(해설) 예로부터 발음 습관에 따라, 또는 발음의 용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4.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 규정>은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2부 표준 발음법으로 구성되어 있다.현재의 <외래어 표기법>은 1986년 1월 문교부 고시 제85-11호로 시행되었다. 1933년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새 문자나 부호를 사용하지 않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리
20. <보기>는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조항의 일부이다. 각 조항에 대해 교사가 설명한 것 중 적절하지 않은것은? <2012년>
<보기>
제2항 표준어의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과 억양
방언과 표준어의 성별 친화성
어휘적 특성
화용적 특성
4절. 성 차별 표현의 양상
여성 차별 표현
남성 파별 표현
동일 형식의 성 차별 표현
5절. 정리와 응용
5장. 청자 대우 ‘해요체’ 사용과 사회적 집단과 상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작업
1) 어문정책의 강령 마련
2) 통일 맞춤법 제정
3) 표준어 제정
4) 표준 발음법 제정
5) 규범문법 마련
6) 통일 국어사전 편찬
7) 통일 어휘 언어정책
2. 통일 후 남북어(南北語)의 수용 방안
Ⅵ. 남북한의 언어정책 제언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