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준어 규정
제 1절 자음
제 2절 모음
제 3절 준말
제 4절 단수 표준어
제 5절 복수 표준어
제 3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 1정 고어
제 2절 한자어
제 3절 방언
제 4절 단수 표준어
제 5절 복수 표준어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가\'소리를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혼니불], 막-일[망닐], 삯-일[상닐], 맨-입[맨닙], 꽃-잎[꼰닙], 내복-약[내:봉냑], 한-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4.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음은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파열음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g, k
kk
k
d, t
tt
t
b, p
pp
p
파찰음
ㅈ
ㅉ
ㅊ
j
jj
ch
마찰음
ㅅ
ㅆ
ㅎ
s
ss
h
비음
ㄴ
ㅁ
ㅇ
n
m
ng
유음
ㄹ
r, l
〔붙임 1〕\'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음 체계는 표준어의 자음 체계와 거의 같으나, 동부 경남 지역에서만 /s/()와 ()와 대립이 없고, 그 밖의 지역은 표준어의 자음 체계와 같다. 이 이외에도 경남 방언에는 ()이 음소로 설정될 가능성이 있다. 경남 방언의 단모음은 지역과 세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음에 관한 표준어 규정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정한 경우.
예)끄나풀/X끄나불, 나팔꽃/X나발꽃, 동녘/X동녁,
부엌/X부억, 들녘/X들녁, 칸막이/X간막이,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진져서 널리 쓰이는 것을 표준어로 정한 경우.
예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