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가 직접 체언에 붙을 수 있다. 이 형식은 중세 한국어에서도 볼 수 있는 오래된 특징이다.
이건 니 책가? (판단 의문문)
이건 누구 책고? (의문사 의문문)
* 명령형, 청유형
명령형은 아래와 같은 형식들이다. ‘-거라’는 서울 방언에서 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왔나?(왔니?)
참고도서
국어학개설, 이익섭 저, 학연사,2000
우리말 방언학, 성낙수, 한국문화사, 2000 1. 방언의 개념
2. 방언의 유형
3. 표준어와 방언의 관계
4. 방언의 중요성
5. 지역에 사시는 60대 이상의 어르신이 사용하시는 낱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라기보다는 여러 방언의 집합에서 이루어진 생생한 언어로 보는 편이 옳을 것이다. 그러므로 살아있는 한국어에 속하는 여러 방언은 소속 지역민들의 정서와 문화적 요소를 담고 있다. 텔레비전의 드라마라든지 영화에서 어느 특정 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 특유의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라면, 해당 부분 뒤의 그에 대한 표준어 단어나 구, 절 등을 넣어 정리한다.
Ⅳ. 사투리(방언, 지역어)와 지역방언
지역의 다름에 의해 형성된 방언을 지역방언 이라한다.
두 지역 사이에
사투리 지역어, 방언 표준어, 방언, 지역어) 수집, 사투리(방언, 지역어)와 지역방언, 사투리(방언, 지역어)와 표준어, 사투리(방언, 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깨네기/개냉이/애앵구
. 갈 서론
방언 교육의 필요성
본론
방언과 표준어의 개념
1.방언의 개념
2. 표준어 개념
경상도 방언
1.경상도 방언 어법적 특징
2.경상도방언의 표현적 특징
결론
우리방언을 통한 우리말 알기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