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계통과 형성의 문제점, 몽골학(2004), vol., no.16, pp. 241-267 (27 pages)
최기호, 몽골어와 한국어의 계통적 위치, 청람어문교육(2005), 2005, vol., no.32, pp. 265-295 (31 pages) 서론
문제제기
본론
1. 한국어와 몽골어의 계통적 위치
1-1 ‘알타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8.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통적 언어분류에 대한 부인 모두 경계해야 한다.
6. 결론
한국어의 계통적 위치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다. 인구어의 언어들처럼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닐 뿐더러, 연구할 여건이 넉넉하지 못하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6.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 몽골어, 만주어, 퉁구스어, 터키어, 일본어 등”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여섯째, 계몽사 학생백과대사전
한국어: 우리 민족이 쓰는 말. 우리나라의 공용어인 국어를 가리키는 말이다. ~한국어가 어느 언어 계통에 딸려 있는가는 아직 명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6.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특질
3.2. 반알타이어족설
4. 알타이어족설과 반알타이어족설의 문제점
4.1. 알타이어족설의 허구
4.2. 반알타이어족설의 오류
5. 한국어와 몽골어의 관계
5.1. 몽골어에서 온 차용어
5.2. 계통적으로 비교되는 ‘신체어’
6. 맺음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의 위치와 그 분화 시기의 추정은 일단 한국어가 알타이 공통조어에서 가장 이른 단계에서 분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좀더 세밀한 뒷받침이 필요하다. 여섯째, 대부분의 서구학자들은 비교에 있어서 한국어에 관한 한 지나치게 현대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