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개음화가 국어에서는 중기국어 시대에서부터 서서히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15세기에도 극히 드물지만 구개음화한 예를 문헌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박병채, 『국어 발달사』, 세영사, 1989, p.148.
(1) 츠기 너겨 모지마라 ◎ 구개음화
○ ㅈ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9.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향과 과제
4. 문법 체계와 용어의 표준화
4.2. 교육과정과 문법 교수요목 표준화 문제
4.3. 발음 교수요목의 표준화
4.4. 문법 교수요목의 표준화
4.5. 어휘 교수요목의 표준화
5. 한국어 문법 교육의 다양화
참고문헌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
ㄷ, ㅌ으로 끝나는 어간은 ‘이’(‘히’)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를 만나면, ㅈ, ㅊ으로 실현된다.
곧이[고지], 해돋이[해도지]
같이[가치], 닫히다[다치다]
1.6
된소리되기
(경음화)
고유어에서 음절말 ㄱ계, ㄷ계, ㅂ계 자음 다음에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개음화 현상 보임
(ㅂ) 삽입모음현상이 불규칙적
참고문헌 : 國語學史의 基本理解,김민우,集文當,1987
풀이한 訓民正音,박지홍,과학사,1984
中世國語文法,조세용,건국대 출판사,1994
김동소,한국어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두산 「세계대백과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의 구개음화’, 김주필 저, 「언어학」 80:115-150, 2018. 1. 서론
2. 본론
1) 한국어의 음운 규칙
(1) 구개음화(口蓋音化)
① 개요
② ㄷ 구개음화
③ ㄱ 구개음화
④ ㅎ 구개음화
⑤ ㅈ 구개음화 및 ㄴ 구개음화
(2) 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