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기법의 원리
2. 차자표기의 체계
2-1. 음독자
2-2. 훈독자
2-3.음가자, 훈가자
3. 차자표기의 발달과정
3-1.한자의 정착
3-2. 고유명사 표기와 음절에 대한 인식
3-3. 서기식 표기=서기체
3-4. 이두
3-5. 구결
3-6. 향찰
4. 고유명사의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석』일지사
13. 이두문법소의 통시적연구, 배대온, 2002, 경상대학교 출판부. 1. 한문의 정착
2. 고유명사 표기
3. 서기체 표기
4. 향찰
5. 향가와 향찰
6. 이두
7. 이두와 향찰
8. 구결
9. 구결과 토
10. 석독구결과 음독구결
11. 훈민정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
① 고유명사 표기
1) 음독표기 (소리를 빌려 읽음): 古 [ko]
2) 훈독표기 (뜻을 빌려 읽음): 水 [물]
3) 혼합표기 (음독과 훈독을 번갈아 가며 표기): 大田 음독표기[대전] / 훈독표기[한밭]
② 서기체 표기 (조사는 없지만 한자를 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15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하려는 노력이 극대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두는 吏道, 吏頭, 吏札, 吏套, 吏吐 등의 이칭을 갖고 있지만, 이들은 단지 동일명의 이표기에 지나지 않는다.
ㄴ. 서기체 표기와 이두와의 관계
서기식 표기란 1940년 경주 石丈寺址에서 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 토를 달기 위해 사용되었다. 기록할 때는 한자나 한자의 줄임 꼴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구결은 한문을 국어 화하기 위해 등장한 표기수단으로 불과 20~30자만을 차용하는 구조여서 매우 간결하다. 한자를 이용해서 우리말을 적었다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2.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