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사람들의 우리말 보존 운동도 상당히 활발하다고 한다. 오히려 당연한 듯이 쓰고 있는 우리말을 해외에 나가서 더욱 소중히 여기고 지키려는 자세가 완고하다니 얼굴이 뜨거워질 노릇이다.
Ⅸ. 결론
한글만 쓸 것인가 한문 글자도
한글 우리말, 우리글 한국어, 법, 한글(우리글, 우리말, 한국어)과 한글꼴, 한글학회, 한글(우리글, 우리말, 한국어)과 음절단위철자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자법’이었다. 이 철자법은 국문 연구 의정안을 발전시킨 것으로, 소리나는 대로 쓰는 表音主義를 택하였기 때문에 받침에 ‘ㅋ, ㅌ, ㅍ’ 등이 쓰이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의 맞춤법은 조선어 학회에서 1933년에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 문법 용어로 바꾸었다.
한편 1979년 전면적인 재검토에 들어가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맞춤법은 1988년 문교부에서 고시하여 1989년 3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된 <한글 맞춤법이다.
이 <한글 맞춤법은 1933년에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훌륭히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순수한 우리말과 한자말로 구별해서 설명하기로 하자. 우리말 -- 훈민정음 해례에서 종성부용초성법을 택해서 가능한 일이었는데, 조선 중기의 8종성법에서 한글학회에서 이를 다시 살린 건 정말 잘한 일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결같이 한국 알파벳 창제의 영예를 현 왕조의 제사대 임금에게 돌리고 있다. 그리고 그 공표의 해를 서력 1447년으로 못 박고 있다.”(ⅹⅳ 면)
위에서 본 사전의 ‘서론’과는 달리 한글에 관한 우리나라 기록을 믿는 태도를 취한 사실에 주
한글 국어, 우리글 우리말,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성격과 우수성, 한글(우리글, 국어, 우리말)의 지위와 구조, 한글(우리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