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결학회, 2003
video
포항mbc, 특집프로그램, 이두 우리말 그 천년의 여정, 2009년 4월 27일 1.서론
2.본론
1) 한반도에서 삼국시대 이전의 한자수용
2) 고구려, 백제의 한문 사용과 한자 표기
3) 신라의 한자 수용과 차자 표기의 발달
3.결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과 근대국어 표기법, 현대국어 표기법으로 구분하여 변천되어왔다.
한자가 우리 나라에 들어온 이래로 그 한자를 이용하여 국어를 문자로 기록하려는 노력은 차자표기법의 고유명사 표기, 서기체, 이두, 구결, 향찰 등의 순서로 계속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04.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기법 (차자표기: 한자의 뜻과 음을 빌려 표기하는 방식)
(1)이두
(2)구결
(3)향찰
(4)고유명사표기
2. 한글 표기법의 변천
(1) 중세 국어 표기법
1) 15세기
2) 16세기
(2) 근대 국어 표기법
(3) 개화기 표기법 / 일제시대 표기법
(4) 한글 맞춤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0.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어의 확대가 주를 이루었는데, 특히나 문법에서는 높임법과 의문문, 주격 조사 등에 대한 변화가 있었고 표기에서는 이어적기, 거듭 적기, 끊어 적기 등에 대한 변화가 주를 이룬다.
국어의 시기별 변천은 우리말이 변화해 온 모습을 살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0.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자연구』집문당
남광우. 1997.『교학 고어사전』교학사
남풍현. 1981.『차자표기법 연구』단국대출판부
도수희. 1984.『백제어 연구 1』홍문각
______. 1985.「백제어의 '買·勿'에 대하여」《우운 박병채 박사 환력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______.
|
- 페이지 82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01.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