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가 약 60%, 백제 약 88%, 신라가 약 61%가 된다. 그리하여 세 나라 평균은 약 70%가 되는 셈이다.
이처럼 고구려, 백제, 신라를 같은 민족이라고 보고 있고 같은 언어를 쓰고 있었다는 것을 김영황(1978)교수와 류렬(1983)교수, 김수경(1989)교수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 한자음 고찰 (1)」《홍익어문》10·11합본. 홍익대
______. 1998.「고대국어 음운」《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3》. 국립국어연구원
김방한. 1976.「한국어 계통론 연구의 문제점」《언어학》1.
______. 1983.『한국어의 계통』민음사
김수경. 1989
|
- 페이지 82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01.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층과 다른 언어를 사용했었다면 이러한 것을 빠뜨릴리 없고 그러한 상황에서 고구려어와 언어가 같다고 기록했을 리가 없다. 이와 같이 양서에 의하면 고구려, 신라, 백제의 제 언어가 서로 계통을 달리하여 서로 이야기가 불가능했다고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 동옥저, 예, 마한, 진한, 변한, 왜에 대한 기록을 동이에 속하는 민족으로 묶고 있는데, 이것이 마로 고구려를 중국의 한족과 상당히 거리가 먼 민족으로 간주하고 있었다는 명확한 근거가 된다.
언어인류학적으로 볼 때도 고구려를 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7.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나 문화적 자의식이 형성된 집단을 역사공동체라고 부른다. 하지만 요동의 3대 공동체인 예맥계와 숙신계, 동호계는 전근대 시기 각 종족 국가마다 독자적인 언어를 사용했다. 그리고 고구려와 새외(塞外, 만리장성의 바깥) 유목 민족 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