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색채형용사(한국과 일본의 색채형용사)
한국어의 기본 색채어 ‘검정, 하양, 빨강, 파랑, 노랑’을 나타내는 형용사에는 ‘검다, 희다, 붉다, 푸르다, 누르다, 까맣다, 새하얗다, 불긋하다, 노르스름하다, 푸르접접하다’ 등 매우 다양하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 여성언어의 색채어와 형용사 사용에 관한 비교연구」,
『여성가족생활연구』8, 명지대학교 여성가족생활연구소, 2004
이화연, 「한국의 여성 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사회연 구』2, 한국사회조사연구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색채어의 의미특징
Ⅳ. 색채어의 활용
1. ‘검다’ 계열의 색채어
2. ‘희다’ 게열의 색채어
3. ‘붉다’ 계열의 색채어
4. ‘푸르다’ 계열의 색채어
5. ‘누르다’ 계열의 색채어
Ⅴ. 색채어의 색채형용사
Ⅵ. 여요작품속에 나타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휘 선정의 타당성 문제는 색채서술형용사체계 자체가 한국의 실제 사용 방식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연구에 바탕하여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파생된 문제라고 아니할 수 없다.
본 연구가 수행한 실제 사용 어휘 목록 수집과 그 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색채 코디네이션의 유형과 유형별 특성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백장미, 박수진. (2021). 색채형용사와 연상색상 대응관계 연구 한국표준색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 Ⅰ. 서론
Ⅱ. 본론
1. 색의 개념
2. 색의 배합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4.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