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일 언어의식 비교_(차현경 저.2004)
자연대화에 나타나는 한일 양국의 화제도입 양상 인간관계요인을 중심으로_(이은미 저.2014)
한일언어행동비교 길 묻기 장면을 중심으로_(권은숙 저.2009) 서론 ? 한일문화의 언어 행동
본론 ? 대화 속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0.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존경어에서는 용례를 찾아볼 수 없는 접두사 「お/ご」가 현대 일본어에서는 대표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예) お尊父たはおかわりないかね. 춘부장께서는 무고하신가요.
- 존경체언 : 한일 양국어가 유사한 점이 많을 뿐 아니라 같은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 양국어의 기본 색채형용사는 ‘검다, 희다, 붉다, 푸르다, 누르다’와 ‘い, 白い, 赤い, い’가 된다. 단, 기본 색채형용사는 아니지만, 일본어 ‘色い’10)는 한국어 ‘누르다’와 대응하고 있으므로 연구대상으로 하되, 일본어 ‘茶色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 양국어는 물론 알타이 제어는 그 어근말음이 거의 ㄷ음이 된다.
15세기 표기로는「믈(水)」이지만 「물」로 변했다.
midu (水) <日>
namida (淚) <日>
일본어는 개음절화했기 때문에 midu의 u모음을 떼면 어근은 mid(mit)이 된다. namida(淚)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4.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국의 언어생활의 조사를 통해서 남녀의 차, 경어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Ⅰ. 서론
Ⅱ. 본론
한국어와 일본어!
우선 비슷한 단어부터 알아보자.
한일 양국인의 언어생활은 어떠한가.
한일 양국인의 호칭은 어떻게 다른가?
Ⅲ.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