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론적 구성 및 배경
1. 화용론의 정의
2. 지시와 거리(Deixis and distance)
3. 협력과 함축(Cooperation and Implicature)
4. 전제(Presupposition)
5. 언어행위와 간접화행.
Ⅲ. 영어교육과의 관련 및 적용
1. 발화해석모형
2. 효율적인 대화진행: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축·한정성·화제·초점·경어체계·은유·반어·인지 등이 화용론의 분야에 속하며 의미론 및 통사론과 겹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방법론상으로는 기능적 접근이 많고 형식적 접근도 많으며(앞의 '의미론'에서 상황의미론과 담화표상이론 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함축하려는 것으로 이해는 어렵지 않다.
A. 1. The hearer shouldn't have let the battery go flat.
2. The hearer should get the battery recharged.
PH이론에 따르면, 위 A.의 1.과 2.의 함축(Implicature) 의미에 각각 다른 상위 수행동사(Performative Verb)를 설정하여 그 화행 의
|
- 페이지 190페이지
- 가격 4,300원
- 등록일 2010.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미
▶문장의 정의
▶담 화
1.화행(발화행위) 이론 (speech act theory)
2.화용론적 전제(pragmatic presupposition)와 함축(implicature)
3.언어와 문화권
Ⅲ. 결론
※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음소
1.음소의 정의
2.말소리 분포와 의미 분화
3.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행 이론의 적정 조건과 관련이 있다. 적정 조건은 여러 가지 화용론적 전제 중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대화상의 특정 상황에서 화자, 청자의 믿음 등 여러 가지 여건들을 고려하여 주어진 문장이 적정하게 사용되는가의 여부를 가려내는 기준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