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 응력-변형율 선도
A~B 탄성변화구간
C~E 항복구간
E~F 변형경화구간
F~G 네킹구간
B 비례한도
C 상항복점 = 탄성한도
D 하항복점 = 항복응력, 항복강도
F 극한응력 = 극한강도
G` 진응력 = P/줄어든단면적
G 공칭응력 = P/최초단면적
① AB : 탄성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한다. 이때 금속 내부에 슬립으로 인하여 소성유동이 생겨 큰 내부 전위를 일으키면서 하 항복점이 발생하는데, 하 항복점을 지나면 영구변형은 더욱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하 항복점을 의미하여, 이때의 응력을 항복응력이라 한다.
4) D :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 항복응력
오프셋방법에 의해 항복점을 구한다.
strain 0.2% 인 지점에서 탄성구간과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응력-변형률 곡선과 만나는 지점을 항복점이라고 하고 항복점에서의 응력을 항복응력이라 한다.
응력-변형률 곡선을 이용하여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례한도와 매우 근접해 있어서 탄성한도의 위치를 찾기 어려우므로 보통 비례한도와 같다고도 본다
㉯. 항복
탄성한도를 넘어서 응력을 더 증가시키면 재료는 이에 견디지 못하고 영구적으로 변형하게된다. 이러한 거동을 항복이라고 한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1.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항복응력 및 탄성계수를 구할수 있을만큼의 굽힘이면 충분하다
순간 압흔에 의해 곡선이 매끄럽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쉽게 목겨되지 않는 곡선이라고 함.
첫실험인 인장때처럼 네킹순간의 파단 소리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어 편안한 마음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